서예의 궁금증 100가지 해결하기
서예의 궁금증 100가지 해결하기
전자책가격 8,000원 페이퍼명 landsky81
저자이름 조승혁 저 출판사명 도서출판 은누리
등록날짜 2022-09-13 권한여부 DRM
전자책유형 파일크기 22.67 MB
조회횟수 163 회 미리보기 5 회
다운횟수 61 회 사용등급 전체 이용 가능
전시분류 문화.예술 > 미술 판매횟수 60 회
책 URL https://www.upaper.net/landsky81/1154237  
SNS공유
예스24  알라딘  교보문고  웅진메키아  리디북스  리딩락  원스토어  네이버북  북큐브  오디오북제작납품  밀리의서재  부커스 

서예의 궁금증 100가지 해결하기
서예는 어렵다고 하지만 기본기만 차례대로 잘 익히면 한편으로는 쉬우면서 흥미로운 분야이다. 배움에 있어서 어느 분야이든 일정한 법칙이 존재한다. 그 법칙을 따르면 정법(正法)의 서예로 재미있고 빠른 학습의 길로 안내한다. 중국 서예유적의 탐사 여행길에서 우연히 접한 중국의 서법가 閔祥德 선생이 지은 『書法百問百答(서법백문백답)』은 서예에 관련된 내용 100가지의 대한 질문을 하고 알기 쉽게 답변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번역하였다. 내용이 간결하면서도 쉽고 또한 폭이 넓어, 서예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오랫동안 공부한 사람에게도 서예 학습에 많은 도움을 준다.

 Chapter 01
 Chapter 02
 차 례
 작가 소개
 일러두기
 서문(序文)
 1. 서예의 궁금증 100가지 해결하기 『書藝百問百答』의 안내
 2. 서예 예술(書藝藝術)이란 무엇인가? [什麼是書法藝術]
 3. 서예를 배우는 재미는 어떻게 하여야 할까? [怎樣培養學書的興趣]
 4. 서예를 배우려면 어떠한 단계를 가져야 하는가? [學書需要哪些步驟]
 5. 서예와 일반 글씨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寫字與書法有什麼區別]
 6. 서예를 할 때 바른 자세는 어떠한가? [怎樣約定寫字的姿勢]
 7. 붓[筆]을 잡는 방법은 어떠한가? [怎樣執筆]
 8. 붓을 잡는 쌍구법(雙鉤法)은 어떻게 하는가? [什麼叫雙鉤]
 9. 붓을 잡는 단구법(單鉤法)은 어떻게 하는가? [什麼叫單鉤]
 10. 붓은 어느 위치(位置)에 잡는가? [什麼叫筆位]
 11. 붓 잡는법의 오지제력(五指齊力)이란 무엇인가? [什麼叫五指齊力]
 12. 붓을 잡을 때, 팔[腕]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怎樣運腕]
 13. 붓을 잡을 때, 침완법(枕腕法)은 어떻게 하는가? [什麼叫枕腕]
 14. 붓을 잡을 때, 제완법(提腕法)은 어떻게 하는가? [什麼叫提腕]
 15. 붓을 잡을 때, 현완법(懸腕法)은 어떻게 하는가? [什麼叫懸腕]
 16. 붓을 운용할 때, 용필(用筆)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怎樣用筆]
 17. 필봉(筆鋒)이란 무엇인가? [什麼叫筆鋒]
 18. 중봉(中鋒)의 필법(筆法)이 왜 중요한가? [什麼叫中鋒]
 19. 측봉(側鋒)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側鋒]
 20. 회봉(回鋒)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回鋒]
 21. 절봉(折鋒)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折鋒]
 22. 만호제력(萬毫齊力)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萬毫齊力]
 23. 역입평출(逆入平出)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麻叫逆入平出]
 24. 장두호미(藏頭護尾)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藏頭護尾]
 25. 무수불축(無垂不縮)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無垂不縮]
 26. 무왕불수(無往不收)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無往不收]
 27. 잠두연미(蠶頭燕尾)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蠶頭燕尾]
 28. 현침수로(懸針垂露)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懸針垂露]
 29. 일파삼절(一波三折)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一波三折]
 30. 질삽(疾澀)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疾澀]
 31. 견사(牽絲)의 필법(筆法)은 무엇인가? [什麼叫牽絲]
 32. 옥루흔(屋漏痕) 필법(筆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屋漏痕]
 33. 절차고(折釵股)의 필법(筆法)이란 무엇인가? [什麼叫折釵股]
 판권

우남(友南) 조승혁(수린)은 성균관대학교에서 중어중문학과(中語中文學科)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동의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어릴 적 조부(祖父)에게서 한학(漢學)과 서예(書藝)를 시작하였으며, 남석 이성조(南石 李成祚) 선생, 여초 김응현(如初 金膺顯) 선생에게서 서법(書法)을 전수(傳受)받았다. 전각(篆刻)은 여초 김응현(如初 金膺顯) 선생, 회정 정문경(褱亭 鄭文卿) 선생, 문인화(文人畵)는 계정 민이식(溪丁 閔利植) 선생을 사사(師事)하였다. 특히 은사(恩師)이신 如初 金膺顯 선생과 중국 여러 지방의 서법가(書法家)와 교류하고 서예유적 여행을 함께하면서 다양한 서예(書藝) 예술세계에 안목을 넓혔으며, 스승과의 많은 대화와 실기(實技) 첨삭(添削)을 통해 서예를 깊이 천착(穿鑿)하였다.

국제서법예술연합(國際書法藝術聯合,-한국·중국·일본·대만·홍콩·싱가폴·말레시아, 1988년 결성) 영남지회 초대 회장, 부산미술협회 서예협회장 등을 지냈다. 현재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전각 부문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전국 각 공모전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의 현현서숙(玄玄書塾), 부산의 한국선서화연구원(韓國禪書畵硏究院), 양산의 삼역서사(三亦書舍)를 주재(主宰)하면서 서예(書藝)와 전각(篆刻)을 지도하고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유튜브 ‘서예명가TV’에서 서예이론(書藝理論), 한글서예, 갑골문(甲骨文), 금문(金文), 전서(篆書), 예서(隸書),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전각(篆刻), 작품(作品)의 창작과정, 각종 전시회(展示會)소식, 사찰(寺刹)과 사원(祠院)의 편액(扁額)과 주련(柱聯) 등을 유튜브를 통해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

400자이내 입력가능하며, 로그인후에 작성이 가능합니다.

등록
X
Modal

선물증정

이메일
내용입력
/ 300
여러 개의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메일 주소는 최대 100개까지 가능합니다.
    취소하기